매년 찾아오는 연말정산 시즌이 돌아왔습니다. 직장인들에게 연말정산은 13월의 월급이라고는 하지만 전문직 근로자들에게는 소원하게 들리는 것도 사실입니다. 하지만 미리 준비하지 않는다면 세금폭탄으로 돌아올 수도 있으니 본인에게 맞는 소득공제나 세액공제를 꼼꼼히 챙겨야 세금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 연말정산 미리보기!
국세청은 11월 15일부터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를 오픈하였습니다. 이 서비스는 지난해 연말정산 결과와 올해 1월부터 9월까지의 신용카드 사용액을 바탕으로 내년 연말정산 예상 세액을 대략적으로 예측해 줍니다. 소득이 높고 안분정산을 해야 하는 봉직의 분들께 유용한 서비스라고 판단됩니다. 급여의 변동, 부양가족 공제에 따른 인적공제와 신용카드 및 의료비, 교육비 공제의 증감 등을 미리 파악할 수 있어, 특히 부부가 공동으로 경제활동을 하는 경우 어느 쪽에 어떤 공제 항목을 포함하여 신고하는 것이 더 유리한지도 사전에 점검이 가능합니다.
위의 연말정산 서비스는 홈택스에서 가능하며, 홈페이지 접속(www.hometax.go.kr) 로그인 후, 장려금·연말정산 전자기부금 ➝ 편리한 연말정산 ➝ (근로자용) 연말정산 미리보기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클릭하면 Step 1 ▶ Step 2 ▶ Step 3의 순서로 진행되며, 국세청이 수집한 올해 9월까지의 신용카드 사용 금액과 지난해 연말정산 내용을 기초로 하여 제공됩니다. 근로자가 총급여 및 각종 공제 항목을 올해 예상액으로 수정하여 미리 계산하는 서비스입니다.
Step 1. 신용카드 소득공제액 계산하기 ‘신용카드 소득공제액 계산하기’를 통해 9월까지의 신용카드 사용 금액과 지난해 지급명세서 금액을 확인합니다. 신용카드자료 불러오기를 반드시 클릭하셔야 9월까지의 사용 금액이 불러와지고 10월 이후 금액은 직접 수기로 입력하시면 됩니다.
Step 2. 연말정산 예상세액 계산하기 ‘연말정산 예상세액 계산하기’ 버튼을 눌러 앞에서 계산한 소득공제액을 토대로 올해 예상 세액을 계산합니다.
Step 3. 3개년 추이 및 항목별 절세 Tip 보기 ‘3개년 추이 및 항목별 절세 tip’을 확인하여 본인에게 맞는 절세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골절의 원인이 골다공증에 의한 양성 골절인지, 전이 등의 질환에 의한 것인지 구분하는 것은 적절한 치료와 암 진단 지연 방지에 중요합니다. MRI는 척추골절의 악성 여부를 판별하는 최적의 방법이지만 비용이 높고 대기 시간이 깁니다. 반면 MDCT는 저렴하고 편리하지만 정확한 감별에 한계가 있습니다. 이전 연구에서는 MDCT와 딥러닝을 이용해 양성 골절을 89% 정확도로 탐지했으나, MDCT로 양성과 악성을 객관적으로 구분하는 방법은 아직 확립되지 않았습니다. 이 연구는 딥러닝을 통해 MDCT 이미지에서 양성 및 악성 척추 골절을 신뢰성 있게 구분하고, 추가적인 MRI나 침습적 절차의 필요성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였습니다.
한양대학교병원 이승훈 교수님께서 해당 논문을 리뷰해주셨습니다.
“다중 검출기 CT(MDCT)에서 양성 및 악성 척추 골절을 구분하는 딥러닝 연구”
Deep Learning to Differentiate Benign and Malignant Vertebral Fractures at Multidetector CT Radiology. 2024 Mar;310(3):e231429 Doi: 10.1148/radiol.231429
비진행성 암 환자는 더 이상 완치를 기대할 수 없는 상태로 신체적 고통뿐만 아니라 심리적⋅존재론적 어려움이나 고통에 직면합니다. 환자 가족 또한 실질적 부담과 상실의 두려움 속에서 여러 어려움에 직면합니다. 특히 임박한 죽음의 인식으로 일상을 지속하기 어려워지기도 합니다. 역설적이게도 이러한 문제의 해결은 피하기보다 적극적으로 논의할 때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습니다. 그 대표적인 예가 사전관리계획(Advance Care Planning)입니다.
경북대병원 우정민 교수님께서 해당 논문을 리뷰해주셨습니다.
“죽음을 직면한 환자에게 마음챙김 개입”
Mindfulness to enhance quality of life and support advance care planning: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for adults with advanced cancer and their family caregivers BMC Palliat Care. 2024 Sep 28;23(1):232 Doi: 10.1186/s12904-024-0156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