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가 진료의뢰를 무시하고 다시 내원했습니다. 현재 사내 부속 의원에서 감기, 장염 같은 일반적인 보험 진료뿐만 아니라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과 같은 만성질환 진료, 그리고 근골격계 통증 및 물리치료 등의 1차 진료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1차 진료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나 응급 처치가 필요한 상황, 또는 전문과 진료가 요구될 때는 상급병원으로 의뢰서를 작성해 환자분께 안내드리고 있습니다. 일부 대학병원에서는 전자 의뢰 시스템을 통해 의뢰가 가능하여 환자분이 원하시면 그 방법으로도 진행합니다.
하지만 몇몇 환자분들은 개인적인 이유로 상급병원 진료를 받지 않고 다시 사내 의원으로 내원하시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미 제 능력 범위를 넘어선 진료임을 설명드리고, 더 이상의 처방이 불가능하다고 말씀드렸음에도, 사내 의원의 접근성이 좋다 보니 다시 찾아와 약 처방을 요구하는 일이 빈번합니다. 심지어 혈액검사를 처방하지 않았음에도, 검사실 직원에게 채혈을 부탁한 후 진료실에 와서 검사를 요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최근 대학병원 진료가 (환자 입장에서) 예전만큼 수월하지 않다는 이유로, 진료 의뢰를 무시하고 다시 사내 의원을 방문해 마음대로 처방이나 처치를 요구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이런 경우 진료를 거부해도 되는지, 또한 이에 대한 정당한 법적 근거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아울러 상급병원으로 의뢰했음에도 환자가 이를 무시하고 다시 사내 의원에 내원해 처방이나 처치를 받았을 때, 만약 그 처치가 적절하지 않았을 경우 사내 의원 의사가 법적으로 책임을 지게 되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
|
|
선생님들의 의견은?
👨의사 처방 없이 채혈을 한 일은 검사실 직원의 잘못입니다. 의뢰서를 발급했는데도 상급병원 해당 전문의의 진료 소견서 없이 다시 방문한 경우는, 약 처방 불가로 설명드림이 좋을 듯합니다. 잘 아시듯 국민건강보험법상 부속의원에서 청구 가능한 행위는 매우 한정적입니다. 신문의 한 기사는 조합 의원(특정 무리의 사람들이 이용하는)의 경우 적절한 시기에 외부 진료를 받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편리성 때문에 환자가 조합 의원에 체류하여 건강이 악화되는 경우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기도 했습니다. 회사마다 부속의원의 역할이 다를 것입니다. 부속의원장(부서 책임자)께 부속의원 운영규칙을 알려달라 하시면 좋을 듯합니다.
🧑차트에 매번 상황에 대한 기록을 하시며 진료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어딜 가나 비슷한 환자군은 존재합니다. 환자를 대학병원에 보내는 이유가 있을 텐데 그것 외에 가능한 진료는 봐주시면 될 겁니다. 예를 들어 혈압이 너무 높아 2차성 고혈압 검사가 필요한데 그냥 혈압약만 타겠다고 하면, 대학병원 진료가 필요한 이유를 설명하고 그렇지 않으면 생길 수 있는 상황을 이야기하고 기록합니다. 최대한 적극적으로 기록하고 그래도 혈압약만 타겠다고 하면 혈압약 처방합니다. 안 주는 것보다는 나으니까요. 암이 의심된다 하면 이것도 같은 방법으로 설명하고 다만 보호자 모시고 오라고 요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요청했다고 기록하면 선생님은 최선을 다하신겁니다.
👩본인의 기준을 확실하게 세워서, 되는 건 되고 안 되는 건 누가 와도 안 된다는 원칙이 있어야 할 것입니다. 직원이 오더도 안 났는데 채혈을 했으면 직원과 환자 모두에게 이렇게 하면 안 된다고 단단히 일러두어야 합니다.
법무법인 의견은? |
|
|
화제의 Q&A
(*클릭하시면 해당 Q&A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
인터엠디가 선생님들과 함께한 지 7년이 되었습니다. 변함없이 사랑해 주시고 함께해 주시는 4만 8천여 명의 선생님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선생님들의 소중한 의견을 듣고, 더욱 유익하고 도움이 되는 서비스와 콘텐츠를 만들어가기 위해 7주년 기념 특별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
|
|
🔍 이벤트 내용 요약
- 이벤트 기간: 10월 19일(토) ~ 11월 6일(수)
- 아래의 세 가지 주제에 맞게 딥 포스팅을 작성해 주세요!
✅ 인터엠디에서 가장 유용했던 콘텐츠나 자료는 무엇인가요? 어떤 점이 유익했나요?
✅ 앞으로 인터엠디에 추가되었으면 하는 기능/서비스는 무엇이고,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 인터엠디를 사용하며 느낀 가장 큰 장점, 그리고 개인적인 성장이 있었다면 공유해 주세요!
선정되면, 어떤 경품이?!🎁 |
|
|
# v-Pick
지난 강의에 이어, 건양대학교병원 김종엽 교수님의 두 번째 v-Pick!
ChatGPT를 활용한 의료데이터 분석, 어떻게 해야 하는지 궁금하신가요?
'생성형 AI를 활용한 의료데이터 분석 노하우'를 지금 만나보세요.
|
|
|
📌 주요 내용 요약
1. ChatGPT 사용 시 유의할 점
2. ChatGPT를 활용한 의료데이터 통계적 분석
3. ChatGPT로 분석 결과 시각화하기
4. 의료데이터 분석을 위한 ChatGPT 이용 Tip! |
|
|
# Drug&Posting
'24~'25절기 코로나19 및 인플루엔자 국가필수예방접종(NIP)이 지난 9월 20일 시작되어 내년 4월 30일까지 순차적으로 진행됩니다. 질병관리청과 대한의사협회, 대한감염학회 등은 겨울철 코로나19(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와 인플루엔자바이러스(독감)의 동시 유행에 대비하기 위해 65세 이상 어르신, 면역저하자, 만성질환자, 감염취약시설 입원·입소자 등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코로나19와 인플루엔자 동시 예방접종을 권고하고 있는데요.
인터엠디에서 '독감 예방 백신'과 '코로나19 백신'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
|
|
📌 주요 내용 요약
1. 독감 예방백신의 특징과 비교 우위
2. 3가 백신 vs. 4가 백신
3. 유정란 배양 vs. 세포 배양
4. 고령층을 겨냥한 고용량 vs. 면역증강(고감수성) 백신 대결
5. JN.1 변이 대응 코로나19 백신 3종 국내 허가...현재 유행은 'KP.3'인데 '철 지난' 백신인지 논란 여전 |
|
|
패혈증은 감염에 대한 면역 반응의 조절 실패로 인해 장기 기능 장애를 초래하며, 심각할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중증 질환 중 하나로,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높은 이환율과 사망률을 동반하는데요. 이러한 이유로 패혈증 발생 예측은 환자 예후를 개선하고 의료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한상수 교수님께서 해당 논문을 리뷰해주셨습니다.
|
|
|
“응급실 환자에서 감염부위와 패혈증 발생의 관계” |
|
|
Primary Infection Site as a Predictor of Sepsis Development in Emergency Department Patients
J Emerg Med. 2024 Aug;67(2):e128-e137 Doi: 10.1016/j.jemermed.2024.01.016 |
|
|
임신 중인 여성에게 약물을 처방하는 것은 언제나 조심스러운 일이기에 임신한 여성이 내원하였을 때는 평소보다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임신 중 약제 등급 등을 설명하며 시간을 보내게 됩니다. 최근 이와 관련하여 임신 중 약제 사용의 안전성을 리뷰한 좋은 논문이 있어 이를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한양대학교구리병원 서현민 교수님께서 해당 논문을 리뷰해주셨습니다.
|
|
|
Safety of dermatologic medications in pregnancy and lactation: An update - Part I: Pregnancy J Am Acad Dermatol. 2024 Oct;91(4):619-648 Doi: 10.1016/j.jaad.2023.10.072
|
|
|
# 10/27(일)까지 퀴즈 풀고, 포인트 획득😎 |
|
|
퀴즈에 참여해 정답을 맞추고, 서술형 응답을 정성스럽게 작성해 주세요!
선정되신 30분의 선생님께 인터엠디 포인트 3,000ⓟ를 드립니다!
▶이벤트 기간: 2024년 10월 27일 일요일, 24시까지
▶당첨자 발표 및 리워드 지급일: 2024년 11월 8일 금요일 오후
⚠️ 엠디레터를 통해 참여하신 분만 이벤트 참여로 인정됩니다. |
|
|
👀퀴즈 살짝 엿보기!
Q. 이 작품은 '빈센트 반 고흐'의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로, 정신병원 창을 통해 보이는 밤하늘을 표현주의 양식의 나선으로 표현한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이 작품은 무엇일까요? |
|
|
오늘 이야기는 어떠셨나요?
다음 달에도 더욱더 알찬 엠디레터로
찾아뵙겠습니다.
|
|
|
intermd@intermd.co.kr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계천로 71, 11층 / 02-598-0900 이메일 수신을 원하지 않으실 경우에는
If you don't want to receive this e-mail anymor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