② [AI 판독 요청하기] 버튼을 눌러 '심전도 이미지'를 첨부하고 Q&A 글 등록을 완료!
③ 정상 등록된 게시글에서 [AI 판독하기] 버튼을 눌러 분석 결과를 확인해 보세요!
🤗 분석 결과 예시 살짝 맛보기!
분석보고서는 Graphical View로 제공되는데요. 분석된 심전도가 시사하는 심장 리듬의 종류와 확률을 표시하고, 10가지 주요 응급상황 및 심기능 이상에 대한 디지털바이오마커를 0에서 100까지 범위로 보여줍니다. 또한 그래프 색상의 경우, 기대하는 민감도와 특이도를 달성하는 임계값을 기준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호산구 식도염 (Eosinophilic Esophagitis)은 식도 점막 하에 호산구가 축적되면서 삼킴 곤란이나 음식물 걸림 등의 증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과거 다양한 알레르기 병력이 있던 환자들에게서 주로 발생합니다. 저자는 본원 자료를 바탕으로, 지난 10년간 내시경 조직검사 횟수의 큰 변화가 없었음에도, 한국에서의 호산구 식도염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을 여러 연구를 통해 발표한 바 있는데요.(J Neurogastroenterol Motil. 2024 Oct 30;30(4):430-436,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19 Oct 30;25(4):525-533,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18 Apr 30;24(2):248-25) 이러한 호산구 식도염의 발생률과 유병률에 대한 서구의 자료는 그동안 많았으나 아시아 쪽 연구는 상대적으로 많지 않았습니다. 본 연구는 아시아 쪽 연구들을 대상으로 하여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 분석을 시행하였습니다.
서울아산병원 정기욱 교수님께서 해당 논문을 리뷰해주셨습니다.
“아시아에서의 호산구 식도염 발생률 및 유병률의 시간적 추세: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
Temporal Trend of Incidence and Prevalence of Eosinophilic Esophagitis in As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m J Gastroenterol. 2025 Feb 1;120(2):320-331 Doi: 10.14309/ajg.0000000000003096
현재 임상에서는 정맥 조영제를 사용한 CT 촬영은 전문 분야를 막론하고 진단과 치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고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매년 3천만 건 이상 시행될 정도로 흔한 영상 검사 방법입니다. 조영제의 사용은 진단의 정확도를 높여주는 장점이 있지만, 그동안 여러 연구와 증례보고 등에서 급성 신손상(AKI, Acute kidney injury)의 발생 위험이 제기되어 왔습니다. 이전의 연구들에서는 조영제 유발 신병증(Contrast-Induced Nepthropathy)이 신장 세뇨관에 대한 독성 및 신혈류의 감소로 인해 발생한다고 설명해 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여러 보고들에 의하면 조영제의 사용이 AKI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고 보고됩니다.
이번 연구에서는 응급실에서 뇌졸중(stroke) 평가를 위해 조영제를 사용한 CT 촬영을 받은 환자들에서 AKI 발생률을 분석하였습니다.
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한상수 교수님께서 해당 논문을 리뷰해주셨습니다.
“뇌졸중 환자에서 조영제 사용 후 급성 신손상”
Incidence of Acute Kidney Injury After Exposure to Intravenous Contrast in Emergency Department Patients Presenting for Stroke